UXML 탬플릿을 생성하고 UI Builder에서 내용을 작성하는 방법각 레이어들을 구성하고 스타일을 편집, 스타일 시트를 작성하여 클래스를 사용하는 방법트랜지션을 사용하고 스크립트와 연계하는 방법 등을 학습하였다.원래는 가챠형 게임을 생각하고 버튼을 통해 '캐릭터 뽑기 씬'으로 전환 할 생각이었는데, 연습 겸 먼저 위와 같이 작성 해 보았다. 참고한 강의는 아래와 같다. 1~3편으로 구성되어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eeDjeziVEbA
UI Builder에서 VisualElement를 추가한 후 Height를 Auto에서 300px로 바꾸었지만 반영이 되지 않는 문제도움 페이지 : https://issuetracker-mig.prd.it.unity3d.com/issues/ui-builder-visualelement-height-cannot-be-changed-with-ui-builder-window UI Toolkit > UI Builder) * Add a new Visua..." data-og-host="issuetracker-mig.prd.it.unity3d.com" data-og-source-url="https://issuetracker-mig.prd.it.unity3d.com/issues/ui-builder-visualeleme..
MonoBehaviour는 Unity에서 C#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상속하는 가장 기본적인 클래스이다. 이 이름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1. Mono여기서 Mono는 그리스어 의미보다는 Mono 프로젝트를 지칭한다.Mono 프로젝트는 .NET Framework의 오픈소스 구현체로, Unity는 초창기부터 이 런타임을 기반으로 스크립트를 실행해 왔다.현재도 일부 플랫폼에서는 Mono 런타임이 사용되며, 그 외 플랫폼에서는 IL2CPP 방식으로 빌드된다.2. BehaviourBehaviour는 Unity에서 활성/비활성 상태 제어 기능을 가진 Component를 의미한다.MonoBehaviour는 Behaviour를 상속하며, 게임 오브젝트에 스크립트를 부착하고 동작을 구현하는 기본 단위가 된다.3. 요약M..
배포에서 에러가 두차례정도 있어 수정 후 배포 완료이후 스타일 약간 개선구입했던 도메인 클라우드타입에서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