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C#의 프로퍼티는 일반 필드처럼 값을 읽고 쓸 수 있지만, set 블록에서 추가 연산을 한 뒤 그 결과를 저장하려고 하면 구현 방식에 따라 제약이 생긴다. 자동 구현 프로퍼티의 경우 내부 백킹 필드에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hp = editedValue와 같은 대입이 불가능하다.2. 예시: 일반 필드와의 차이// 일반 필드 + 프로퍼티private int hp;public int Hp{ get => hp; set { int editedValue = Math.Max(0, value); hp = editedValue; // 가능 }}// 자동 구현 프로퍼티public int Hp { get; set; } = 100;set{ int edite..
https://youtu.be/mYzqGqOi9OA모바일이었으면 더 쉽게 구현할 수 있지만, PC의 경우는 Firebase SDK 에서 관련 기능을 지원하지 않음.따라서 서버를 열고 구글 로그인을 한 뒤 인증 정보를 콜백받아 유니티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함.1. 새 창에서 열기는 크롬 팝업 관련 정책이슈로 불가능2. 새 탭에서 연 뒤, 로그인 완료 후 닫는 것은 유니티에서 직접 연 창(Window)가 아니기에 제어가 불가능
마지막 레시피인 철학자의 소금을 완성하고, 처음부터 다시 레시피 개선에 착수최적 경로를 찾아 재료를 줄이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중복 재료가 가능한 적게 들어가도록 구성개선 전과 후 순으로 이미지 나열1. 니그레도2. 알베도3. 시트리니타스4. 루비도
개인 프로젝트를 하며 작성한 내용을 깃허브에 '공개' 상태로 올리고 싶은데, 위와 같이 민감한 키가 함께 올라가면 개인 프로젝트든 팀 프로젝트든 무척 큰 문제가 된다. 나중에 알아채고 지운 뒤 커밋을 하여도 아무튼 로그에는 남기 때문에 꽤나 머리가 아픈 상황.파이썬 등의 경우, '.env' 라는 이름의 파일을 두어 민감한 정보 등을 모아 읽어들여 사용하고, 해당 파일은 깃에 올리지 않는다.그리고 배포 시에는 플랫폼에서 해당 환경변수들을 직접 사용자가 입력하여 사용하는 등의 지원이 잘 되어있다.유니티에서는 스크립트를 읽을 수 있는 배포환경에서 민감한 내용을 따로 숨기는 방식은 찾지 못했기 때문에, '.env'와 같은 방식을 유니티에서도 사용하면 되겠다.1. env 파일 생성 (예: Assets/.env)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