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lone
개발하는 96년생 Null_Reference_Exception
Q.sha256을 통해 아이디용으로도 salt를 만들어서 아이디도 암호화하고로그인 체크에서 사용자와 입력한 아이디와 ID-salt를 조합하여 아이디 체크를 하도록 하여 혹여나 DB가 털릴 시에 ID도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싶은데, 연산에 많은 시간이 걸리려나?그리고 ID도 암호화할 시에 관리자 입장에서 난처한 상황이 많이 발생하려나?A.아이디를 해싱 및 솔트 처리하여 저장하는 방법은 보안을 크게 향상시키지만, 몇 가지 고려사항이 필요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아이디를 처리할 경우의 장단점과 고려사항을 설명하겠습니다.장점보안 강화: 데이터베이스가 유출되더라도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해시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평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아내기 어렵습니다.프라이버시 보호: 유저의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개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