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 옵션까지는 어렵지만 가능한 모든 메뉴를 만져보면서 익숙해지는 중.
현재 단계에서 이해가 여려운 점
1. 일단 타임라인에서 만든 이슈가, 보드 탭에서 안보이는 이유를 모르겠고 반대로도 보드에서 만든 이슈에 스타트날이랑 기한까지 붙여놓아도 타임라인에서 보이지 않는 점.
2. 이슈 목록에서 보면 타임라인에서 만든 이슈는 '에픽'이고, 유형 보드에서 만든 이슈는 '작업'유형이 붙어있는데 why...
계속 붙어서 익숙해져봐야겠다.
유니티 Muse 실험 프로그램 참여 (0) | 2024.11.07 |
---|---|
스팀웍스 사운드트랙 배포 검토, 1차 반려 (1) | 2024.11.01 |
Python FastAPI 범용 게임 데이터 서버 (3) | 2024.10.31 |
스타트업 인턴 2일차 진행 중 (2) | 2024.10.23 |
Day 1 (0) | 2024.10.08 |
VFX 튜토리얼을 따라하고 있는데, 인스펙터에서 Surface Options 가 보이지 않는다.
구글링 해도 해결법이 안 보여서 인스펙터를 직접 만져봤는데
노란색 화살표로 표시 한 'Space' 속성을 Local 에서 World로 바꾸었더니, 잠깐의 로딩 후 Surface Options 카테고리가 보이기 시작했다.
World 에서 Local로 바꾸어도 계속 보인다.
아무래도 이런 식으로 한번 수정을 가해야 다른 옵션들(여기에서는 Surface Options)도 초기화가 이루어지는 듯 하다.
유니티 vfx graph 에서 셰이더 그래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 (1) | 2024.11.11 |
---|---|
[UI Toolkit] 일반적으로 런타임 중 UXML(VisualTreeAsset)의 동적 생성은 불가능 (0) | 2024.08.17 |
UI Toolkit, Height 사이즈 조정이 안되는 문제 (0) | 2024.07.20 |
MonoBehaviour < 이름에 대해 (0) | 2024.07.01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출시테스트용 앱 게시 (0) | 2024.06.09 |
Output Particle Quad 키워드로 계속 찾다가 못 찾아서, 좀 더 그래프를 둘러보니 셰이더 그래프를 넣는 공간을 전혀 찾을 수가 없어 아래와 같은 키워드로 검색, 구글 검색 AI Labs 에서 나온 내용만으로도 해결되었다.
Edit - Preferences - Visual Effects -> Experimental Operators/Blocks 체크
요렇게 체크해준 뒤, 첫 사진처럼 셰이더그래프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생긴 것을 확인하였다.
유니티 VFX Mesh 의 인스펙터에서 Surface Options가 보이지 않는 문제 (0) | 2024.11.11 |
---|---|
[UI Toolkit] 일반적으로 런타임 중 UXML(VisualTreeAsset)의 동적 생성은 불가능 (0) | 2024.08.17 |
UI Toolkit, Height 사이즈 조정이 안되는 문제 (0) | 2024.07.20 |
MonoBehaviour < 이름에 대해 (0) | 2024.07.01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출시테스트용 앱 게시 (0) | 2024.06.09 |
평소에 GPT4-o 를 잘 쓰고 있던지라 유니티 AI가 궁금하기는 했다.
실험프로그램에 참여하면 구독 없이 써 볼 수 있다고 해서 일단 신청을 넣어두었는데, 1~2일 내에 다시 메일이 온다고 한다.
JIRA 입문 중 (0) | 2024.12.10 |
---|---|
스팀웍스 사운드트랙 배포 검토, 1차 반려 (1) | 2024.11.01 |
Python FastAPI 범용 게임 데이터 서버 (3) | 2024.10.31 |
스타트업 인턴 2일차 진행 중 (2) | 2024.10.23 |
Day 1 (0) | 2024.10.08 |
아래는 GPT로 정리한 해결 가이드
header.jpg
)capsule_231x87.jpg
)다시 정리
MP3파일용 디포, WAV파일용 디포를 새로 파고 각각 업로드.
가장 빠른 번호의 디포(앱 디포)를 꼭 채워야 하는 것 같다.
내 경우에는 앱 디포 번호가 ~~~~21 이었고
1차 시도에서
MP3파일용 디포를 ~~22번에, WAV파일용 디포를 ~~23번에 생성했는데 21번이 비어있는 상태라 진행이 안되었다.
위 디포들을 지우고 다시 21번에 MP3, 22번에 WAV용 디포를 작성하고 파일을 업로드했다.
상점 및 Devcomp 패키지 일치
출시 테스트를 위해 귀하의 devcomp 패키지는 반드시 상점 패키지와 같은 디포를 포함해야 합니다.
진짜 한참을 헤멨다. 아래와 같은 packagelanding 주소를 가지는 페이지에서 작업이 필요했었다.
'포함된 디포' 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디포 중 누락된 게 있어 포함시켜주었다.
패키지랜딩 페이지에 어떻게 찾아갔는지, '뒤로가기'를 눌러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서 다시 찾는데도 한참이 걸렸다(...)
위 보이는 스크린샷에서, 빨간색 패키지를 클릭하면 나오는 페이지였다
아무튼 해결
JIRA 입문 중 (0) | 2024.12.10 |
---|---|
유니티 Muse 실험 프로그램 참여 (0) | 2024.11.07 |
Python FastAPI 범용 게임 데이터 서버 (3) | 2024.10.31 |
스타트업 인턴 2일차 진행 중 (2) | 2024.10.23 |
Day 1 (0) | 2024.10.08 |
한개 서버로 여러 서비스 폴더별로 구분하여 관리
새로운 서비스(앱, 게임 등) 생성 시, GameData
, UserData
, OtherData
폴더가 함께 생성되도록 하고, UserData
폴더에는 Info.json
파일을 생성하여 신규 유저의 UID 부여에 참고하도록 한다.
{"next_uid": "000000000"}
회원가입을 위해 서비스 이름
, 입력ID
, 입력Password
와 함께 서버에 요청한다.
입력Password
+ 16자리의 salt
) 를 해시 암호화 한 패스워드를 얻는다Base.json
을 작성한다.
uid
, id
, pass
, salt
를 보관한다.유니티 Muse 실험 프로그램 참여 (0) | 2024.11.07 |
---|---|
스팀웍스 사운드트랙 배포 검토, 1차 반려 (1) | 2024.11.01 |
스타트업 인턴 2일차 진행 중 (2) | 2024.10.23 |
Day 1 (0) | 2024.10.08 |
강의에서 자주 보이는 변수 및 주석위치의 정렬을 위한 세팅 (0) | 2024.10.06 |
하루 네 시간 인턴 활동, 10월 중순부터 12월 중순까지 두 달 간 진행한다.
시급 1만원 계산으로 두 달 160만 지원금 지급. 용역 계약으로 적혀 있어 인턴으로써 급료를 받는 건 아니다.
매칭된 회사에 출퇴근하기 위해 판교로 거주지를 이동했다.
현업 팀장 및 인턴 팀원과 두달 간 한 개의 게임을 기획부터 완성까지 진행한다.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정식 채용가지 이어지면 좋겠다.
판교, 퇴근 시간 교통체증이 자비가 없다.
버스를 타고 귀가를 해야 하는데 사람이 너무 많아 다 타지 못해 다음 버스를 기다렸다. 배차간격도 무자비했다.
거주 고시원 근처에 새벽 5시 반까지 열려있는 넓은 카페가 있어 좋다.
스팀웍스 사운드트랙 배포 검토, 1차 반려 (1) | 2024.11.01 |
---|---|
Python FastAPI 범용 게임 데이터 서버 (3) | 2024.10.31 |
Day 1 (0) | 2024.10.08 |
강의에서 자주 보이는 변수 및 주석위치의 정렬을 위한 세팅 (0) | 2024.10.06 |
인텔리픽 한 달 인턴 6기 지원 완료 (0) | 2024.10.04 |
Python FastAPI 범용 게임 데이터 서버 (3) | 2024.10.31 |
---|---|
스타트업 인턴 2일차 진행 중 (2) | 2024.10.23 |
강의에서 자주 보이는 변수 및 주석위치의 정렬을 위한 세팅 (0) | 2024.10.06 |
인텔리픽 한 달 인턴 6기 지원 완료 (0) | 2024.10.04 |
단순한 정렬문제이지만 메모리 제한이 있는 케이스 (1) | 2024.09.21 |
문제는 Visual Studio의 자동 코드 정렬 및 서식 기능 때문.기본적으로 Visual Studio는 코드를 작성할 때 자동으로 정렬을 맞추려는 기능이 활성화되어있다.이를 비활성화하거나 사용자 정의 규칙을 적용해서 원하는 대로 코드를 정렬 가능하다.
스타트업 인턴 2일차 진행 중 (2) | 2024.10.23 |
---|---|
Day 1 (0) | 2024.10.08 |
인텔리픽 한 달 인턴 6기 지원 완료 (0) | 2024.10.04 |
단순한 정렬문제이지만 메모리 제한이 있는 케이스 (1) | 2024.09.21 |
개발 관련 소소한 일상은 챈에서 메모하듯이 작성 중 (0) | 2024.09.18 |
현장 실습을 뭐라도 해보자라는 기세로 지원했다.
혹시라도 최종선발까지 된다면 근처에 두 달 정도 살 곳을 구해야 하는 게 제일 어려운 점.
Day 1 (0) | 2024.10.08 |
---|---|
강의에서 자주 보이는 변수 및 주석위치의 정렬을 위한 세팅 (0) | 2024.10.06 |
단순한 정렬문제이지만 메모리 제한이 있는 케이스 (1) | 2024.09.21 |
개발 관련 소소한 일상은 챈에서 메모하듯이 작성 중 (0) | 2024.09.18 |
물리 프로젝트 on 유니티6 (0) | 2024.09.03 |
해당 백준 문제는 아래와 같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0989
메모리에 신경쓰지 않고 그대로 제출하려고 했던 코드는 아래와 같다.
import sys
def LocalInput():
with open("input.txt") as file:
datas = file.read().strip().splitlines()
return datas
def BaekjoonInput():
datas = sys.stdin.read().strip().splitlines()
return datas
# datas = LocalInput()[1:]
datas = BaekjoonInput()[1:]
datas.sort()
for data in datas:
print(data)
인풋 단계에서 메모리를 낭비하지 말자는 아이디어는 있었지만,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모르겠고 그 외 방도도 떠오르지 않아 GPT에 물어보고, 해당 내용을 학습해보려고 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메모리를 초과하는 문제는 주로 정렬 시 사용되는 메모리, 데이터 저장 방식, 또는 출력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코드의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겠습니다.
datas = sys.stdin.read().strip().splitlines()
: 이 코드는 입력을 한꺼번에 메모리로 읽어와 모든 줄을 리스트로 저장합니다.datas.sort()
: 정렬 과정에서 추가적인 메모리 사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for data in datas: print(data)
: 출력할 때도 리스트의 전체 요소를 메모리에 유지한 상태에서 하나씩 출력합니다.sorted()
를 사용하여 한 줄씩 정렬하는 방식으로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import sys
import heapq
def LocalInput():
with open("input.txt") as file:
datas = file.read().strip().splitlines()
return datas
def BaekjoonInput():
return sys.stdin
# 메모리 초과 방지를 위해 제너레이터를 사용하여 입력 처리
def process_input_and_sort(input_source):
min_heap = []
# 첫 번째 줄은 개수 정보이므로 제외하고, 입력을 한 줄씩 처리
next(input_source)
# 각 줄을 힙에 추가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
for line in input_source:
heapq.heappush(min_heap, line.strip())
# 힙에서 하나씩 꺼내면서 출력 (정렬된 순서로 출력)
while min_heap:
print(heapq.heappop(min_heap))
# main 함수 호출부
# process_input_and_sort(LocalInput()) # 로컬 테스트용
process_input_and_sort(BaekjoonInput()) # 백준 제출용
sys.stdin
제너레이터를 사용하여 한 줄씩 읽어 메모리를 절약합니다.heapq
) 사용: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힙 자료구조를 사용해 점진적으로 정렬된 데이터를 출력합니다. heapq
는 파이썬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힙 자료구조로,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과 정렬을 동시에 제공합니다.이 방법을 사용하면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하여 메모리 초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생소한 내용이라 바로 학습.
강의에서 자주 보이는 변수 및 주석위치의 정렬을 위한 세팅 (0) | 2024.10.06 |
---|---|
인텔리픽 한 달 인턴 6기 지원 완료 (0) | 2024.10.04 |
개발 관련 소소한 일상은 챈에서 메모하듯이 작성 중 (0) | 2024.09.18 |
물리 프로젝트 on 유니티6 (0) | 2024.09.03 |
solved.ac CLASS 1 완료 (0) | 2024.08.29 |